1. https://start.spring.io 로 들가쟈
- Gradle Project, Java, 버전은 영어 안붙어 있는거 암거나 클릭
- Artifact : 빌드 결과물
- 그 외는 아무렇게나~
2. Dependenciec 옆에 박스 클릭! (중요)
- 프로젝트를 생성할 건데 어떤 라이브러리들을 이용할지 정하는 것
- Spring Web : 웹 프로젝트 만들 때 필요한 라이브러리
- Thymleaf : html을 만들어주는 templete engine 중에 하나.
3. 하단에 Generate버튼 클릭해서 다운받고 압축 풀기
4. 인텔리제이에서 압축 푼 파일 경로 명으로 import하면 끝!
5. 구조 이야기
- src 하위 폴더에 main과 test로 나뉘어져있다.
main 하위에 java폴더 있고 실제 패키지 소스 파일들 존재. resources 폴더도 있는데 이곳에 static과 templates 폴더가 있다. 이후에 나오겠지만 간단하게는 html 파일들이 대게 들어가서 브라우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될거 같당.
test는 test코드들이 들어간다. 이 test코드들이 개발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 build.gradle (슈퍼 중요)
자바나 스프링 버전, 라이브러리 가져오는 곳. 그래서 라이브러리 새롭게 추가하면(dependencies에) 인텔리제이에 코끼리 리프레쉬 버튼 나오는데 그 친구 클릭하면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되는 것! 그럼 어디서 어떻게 다운받느냐?! repositories{ mavenCentral() }이 보이는데 이 링크 타고 들어가서 다운 받는다 생각하면 됩니다. 즉, 다른 url에서 다운받을게 필요하면 요 블록에 적어놓으면 된다는 것~
- .gitignore
깃허브에 올릴 때 관리해 주는 것인데 이거 좀 알아봐야겠다... 개발 코드들 깃에 올릴 생각에 막막했는데 이걸 도와준다니! 대박대박
참고) 프로젝트 빌드를 자바로 직접 하는 것이 아닌 gradle이 실행할 때가 있는데 이럴때는 preferences 열어서 gradle이라 검색 후 build and run using 과 Run tests using 을 둘다 intelliJ IDEA로 바꾸어준다.
'백앤드(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포넌트 스캔 (2) | 2022.01.20 |
---|---|
싱글톤! (2) | 2022.01.18 |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0) | 2022.01.15 |
IOC, DI 그리고 컨테이너에 대하여,,, (0) | 2022.01.13 |
스프링의 개괄적인 개요 (0) | 2022.01.06 |